자동 취약점 분석/ CTF-solving Agent 만들기
- Bob 13기 분의 제안으로 시작
- Bob13기, 화햇 출신 분과 함께 에이전트 제작
- 데이터 수집(CTF writeup 수집 완료)
- 전처리
- 프롬포팅
- RAG 및 mCP
- MCp는 Ghidra, IDA, 그리고 Burpsuite와 같은 도구들을 MCP로 연동 예정
- CVE는 API 연동, Shodan는 MCP로 연동할 것
- TOol 기능이 있기에 MCP 지원이 되지 않는건 따로 코드 구현해서 연동할 예정
- RAG는 GraphRAG를 통해서 연관된 의미들을 잘 캐치할 수 있도록 진행
- Search API 연동
암호분석대회 (~2025.07.30)
- 지인의 소개로 시작하게 됨
- 카이스트 수학과 분께서 수학적인 부분에 도움을 주셔서 같이 머리를 맛대고 여러 가지 풀이법을 고민하며 실행
- 인텔 Intristic를 활용한 최적화 코드 작성 완료. 테스트 벡터 및 벤치마크 반영 예정
- 포렌식 문제를 풀어보는데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해보는 중
- 복호화 방법 고민
- 문제에 제시된 환경에서의 브라우저 내부 덤프 데이터 분석
- sqllite 분석 → base64 디코딩해보니 암호화되어있어 여러 가지 암호 복호화 방법 고민중
양자컴퓨팅 스터디 복기하기(2025.03 ~2025.06 : 스터디기간, 2025.07~2025.10: 책 형태로 자료 정리하여 제출)
- PQC, 양자암호통신에 대해서 이해를 하기 위해 기본기로 스터디를 통해 양자컴퓨팅 이해를 진행했었음.
- 쇼어와 그로버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. 쇼어가 푸리에 변환을 활용하여 주기성을 잘 찾는다는 점이 인상깊었음.
- 왜 PQC가 논의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고, 관련 흐름 파악.
- 모두의연구소 스터디에서 향후 과제로 이해한 바를 책 양식으로 쓴다 생각하고 제출물을 만드는게 목표라 양자암호 파트 이해한 바를 정리하며 Overleaf를 통해 작성함.